퍼포마의 야근근절을 위한 코딩

Google Colaboratory - 구글 드라이브 연결(mount) 방법 (예시 이미지, 코드 있음)

인생은스트러글 2022. 10. 24. 07:32

[목차]

0. 여는 말

1. 코랩 파일 생성 & 간단한 코드 실행

2. 구글 드라이브와 연결(mount)

3. 정상 연결 여부 확인 (with 예제 파일)

4. 맺는 말

 


 

0. 여는 말

 

지난 글에서 Google Colaboratory (이하 코랩)의 설치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아래 글 참조),

 

 

Google Colaboratory - 설치 방법 (예시 이미지 있음)

[목차] 0. 여는 말 1. Google Colaboratory 설치 방법 2. 맺는 말 0. 여는 말 지난 글에서 Google Colaboratory (이하 코랩)의 특징과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아래 글 참조), 우리가 사용할 개발 도구(환..

lifeisstruggle.tistory.com

 

이번 글에서는 이어서 코랩을 구글 드라이브에 연결(mount)하는 방법에 대하여 서술해 보려 합니다.

그러면, 글 시작합니다!

 


 

1. 코랩 파일 생성 & 간단한 코드 실행

 

1. 코랩 파일 생성

파일 생성은 매우 간단합니다!

마우스 우클릭하여 '더보기 > Google Colaboratory' 순으로 클릭해 주면 끝입니다 :) 

 

이렇게 'Google Colaboratory' 클릭만 해 주면...

 

새로운 파일 생성이 완료됩니다! 간단하죠? :)

 

2. 간단한 코드 실행

새 파일을 만들었으니, 한 줄 짜리 간단한 코드를 실행해 보겠습니다.

코딩을 배우면 통상 처음으로 입력해 보는 코드인데요, 바로 'hello world'를 출력(print)하는 것입니다.

빈 셀에 아래의 코드를 따라 치시고, 1) 셀 왼쪽의 재생 버튼을 클릭하거나, 2) 'Shift+Enter'를 쳐서 해당 셀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Tip: 'Shift+Enter'와 'Ctrl(Mac은 Command)+Enter' 모두 셀 내 코드를 실행하는 단축키입니다. 다만 차이점이 있다면, Shift를 쓰면 현재 셀 실행 후 다음 셀로 넘어가는 (혹은 다음 셀이 없다면 새로 만드는) 반면, Ctrl(Mac은 Command)을 쓰면 현제 셀 실행까지만 진행되고 현재 셀에 머물러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적합한 방법으로 셀을 실행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 )

 

print("hello world")

 

위의 코드를 입력하고 1) 재생 버튼 클릭 OR 2)Shift+Enter를 쳐 주시면...

 

이렇게 'hello world'가 출력됩니다! 코딩의 세계에 첫 발을 들이신 것을 환영합니다 :)

 


 

2. 구글 드라이브와 연결(mount)

 

'hello world' 코드도 쳐 봤으니, 오늘의 메인 주제인 '구글 드라이브와 연결(mount) 방법'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사실 코드 두 줄이면 끝나는 간단한 과정입니다 :) 

아래 코드를 실행한 후, 나타나는 창에서 구글 드라이브 접근 권한을 부여하면 20초 정도가 지난 후 내 드라이브와 연결(mount)이 완료됩니다!

 

# 구글 드라이브 mount
from google.colab import drive
drive.mount('/content/drive')

 

위 코드를 실행하고,

 

위 과정처럼 구글 드라이브 접근 권한을 허용해 주면...

 

구글 드라이브와 연결(mount)이 완료되었습니다!

 


 

3. 정상 연결 여부 확인 (with 예제 파일)

 

위의 과정까지 하면 연결(mount)은 완료된 것이며, 추가로 저희는 연습 겸 정상 연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드라이브 내 파일을 불러와 보겠습니다.

 

1. 먼저, 아래 첨부된 csv 파일을 내 코랩 파일과 동일한 위치에 옮겨 주세요.

 

예제파일_구글드라이브연결.csv
0.00MB

 

 

 

코랩 파일이 있는 곳에 다운로드 받은 예제 csv 파일을 옮겨 주세요.

 

2. 이제 이 파일을 불러오기 위해 아래 코드를 붙여 넣고, '알맞은 파일 경로를 입력한 후' 실행해 주세요.
(파일 경로 개념과 관련하여서는 추후 별도 글로 업로드할 예정입니다 :) )

 

import pandas as pd
df = pd.read_csv("파일 경로")
df

 

파일 경로를 찾기 위해서는 좌측의 '폴더 모양 아이콘'을 클릭해 준 후,

 

해당 예제 파일을 찾아 파일명 우측 점3개 아이콘 클릭 후, '경로 복사'를 클릭하면 파일 경로가 복사됩니다.

 

복사된 파일 경로를 큰따옴표("")사이에 붙여넣은 후 코드를 실행하면,

 

파일이 정상적으로 불러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상적으로 구글 드라이브가 연결(mount)되었다면 위와 같이 파일이 정상적으로 불러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실 거에요!
이는 코랩 파일에 구글 드라이브가 연결(mount)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며, 만약 구글 드라이브가 mount되지 않았다면, 우리가 설정한 경로를 찾을 수 없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파일을 찾을 수 없다는 에러가 발생할 것입니다.

 

"No such file or directory", 즉 "그런 파일이나 경로를 찾을 수 없다"는 FileNotFoundError가 발생합니다.

 


 

4. 맺는 말

 

지금까지 코랩 파일에 구글 드라이브를 연결(mount)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자세히 설명하다 보니 내용이 길어졌는데, 파일 경로 설정 부분만 제외하면 쉬워서 금방 익숙해지실 거에요 :)

 

다음 글에서부터는 여러 개의 글에 걸쳐 "코딩을 하면서 자주 듣게 될 것이고, 또 알아야 할 (혹은 알면 좋은) 기본 개념들"에 대해 소개해 보려 합니다.

일단은 아래 3가지 정도를 생각하고 있어요.

 

1) 많이 접하게 될 용어들 (ex. 함수, 클래스, 모듈, 패키지, ...)

2) 데이터타입(자료형) (ex. int, float, string, boolean, ...)

3) 자료구조 (ex. 튜플, 리스트, 셋, 딕셔너리, 데이터프레임, ...)

 

하나씩 차례로 다뤄 볼테니, 독자 분들께서는 꾸준히 따라와 주시기만 하면 되겠습니다!

이만 글을 마치겠으며, 이해가 되지 않거나 어려운 부분, 기타 문의 내용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남겨 주시면 최대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오늘도 긴 글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하고, 다음 글에서 또 뵙겠습니다! 

 

우리들의 스트러글(struggle)하는 현생, 화이팅입니다!
반응형